부동산57 부동산 경매란? 부동산 경매란? 부동산 경매는 채무가 있는 사람의 부동산을 경매를 통해서 채무를 풀어나가는 과정이리고 볼 수 있다. 즉, 부동산 경매에 나온 물건은 채무가 있는 사람(또는 법인)의 물건이라고 보면 된다. 채무가 있는 사람이 채권자에게 이자나 원금을 상환하지 않아 채권자가 물건을 경매로 넘겨 채무관계를 해결하기 위한 과정이다. -> 쉽게 얘기하면 A라는 사람이 B라는 사람에게 돈을 빌렸고, 이 과정에서 A는 자신의 부동산을 담보로 잡았다. 그런데 A가 B에게 돈을 갚지 않아 B는 지난번 담보로 잡은 부동산을 경매로 넘기게 된다. 이 부동산이 팔리면 그 돈으로 B는 자신의 돈을 회수할 수 있다. 이러한 채무 과정에 휘말린 부동산이 경매로 나오게 된다. 특히 1~2년전 영끌이 심할 때, 돈을 많이 빌려 부동산.. 2022. 8. 10. 깡통전세란? 최근 부동산 가격이 하락하면서 깡통 전세란 용어가 많이 들리고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깡통 전세에 대한 내용을 알아보자. 깡통전세란? 전세 제도를 먼저 살펴보자. 전세 제도는 임대인(집주인)과 임차인(집을 빌리고자 하는 사람)이 계약을 맺는데, 1. 집에 대한 사용권과 2. 보증금을 특정 기간동안 (보통은 2년) 교환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집주인은 보증금이라는 돈을 임차인으로부터 받기 때문에 일시적으로는 매매 가격만큼의 돈이 있어야만 집을 소유할 수 있지만, 결국 매매가격에서 보증금을 뺀 만큼의 금액만 있다면 해당 집을 소유할 수 있게 된다. 극단적으로 상황을 가정하면, 보증금이 매매가격보다 높다면 집주인은 돈이 없어도 해당 집을 소유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주택을 깡통 주택이라고 하며, .. 2022. 8. 7. 시행사와 시공사에 대해 알아보자. 부동산 용어중에 시행사와 시공사에 대해서 알아보는 포스팅이다. 주택을 지어 공급을 하는 측면에서 시행사와 시공사는 빠질 수 없는 용어이다. 쉽게 설명하면 아파트를 지어 공급하는 회사라고 할 수 있다. 시행사 시행사는 주택을 지어 공급하는 일련의 과정을 담당하는 사업을 하는 회사라고 할 수 있다. 즉 토지의 매입, 건물의 시공, 이후 분양을 통해 주택을 공급한다. 부동산 디벨로퍼라고도 하는데 전체적인 사업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흔히 말하는 각을 잘 재야하는 회사이다. 모든 것을 책임져야 하는 회사이기 때문에, RISK는 가장 클 것이지만 사업이 잘 된다면 가장 큰 이익을 벌 수 있는 회사이기도 할 것이다. 하나의 아파트를 지어서 분양을 한다고 할 때, 토지의 선정/매입, 시공사 선정, 인허가, 자금의 .. 2022. 8. 4. 정부, 부동산 다주택자 취득세 중과 완화 검토중 7.27에 다주택자 취득세 중과 완화 기사가 났다. 부동산 관련 세금에는 취득세 / 보유세(재산세, 종합부동산세) / 양도소득세가 있는데, 취득세를 제외하고는 모두 완화의 기조를 보였다. -> 보유세의 경우 공정시장가액 비율을 100% -> 60%로 완화하였으며, 종합부동산세의 경우 세율을 조정하겠다고 발표를 하였다. -> 양도소득세의 경우 다주택자에게 중과가 되던 20~30%의 세율을 1년간 면제를 해주고 있다. 따라서 완화해 줄 수도 있는 세금은 취득세가 남아 있다. 현재 취득세율은 아래와 같다. 구분 무주택자 1주택자 2주택자 3주택자 / 법인 조정대상지역 1~3% 8% 12% 12% 비조정대상지역 1~3% 1~3% 8% 12% 다만 종부세 세율도 아직 적용된 것이 아니라서 취득세 중과 완화를 적용.. 2022. 8. 1. 주거지역 분류, 일반주거지역, 전용주거지역, 준주거지역이란? 1종, 2종, 3종 분류는? 토지 관련된 용어인 주거지역 관련 용어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네이버 지도에 있는 지적편집도를 이용하면 주거지역이 어떻게 분류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네이버 지도 지적편집도 사용방법 아래는 위 동탄 2신도시 지도에서 지적편집도 버튼을 눌렀을 때 나타나는 그림이다. 아래 지적편집도 부분을 살펴보면, 주거지역에도 종류가 여러개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제 1종 일반 주거지역 / 제 2종 일반 주거지역 / 제 3종 일반 주거지역 / 준주거지역 / 근린상업지역이 있고, 제 1종 전용 주거지역 / 2종 전용 주거지역도 있다. 이 중에서 주거지역에 대해서만 알아보겠다. 위 주거지역이 나누어 지는것에 대해서 각 용어 대해 알아보자. (일반 주거지역 / 전용 주거지역 / 준주거지역) 일반주거지역 일반 주거지역은.. 2022. 7. 27. 용적률, 건폐율이란? 부동산 용어 중 용적률, 건폐율에 대해 알아보는 포스팅이다. 호갱노노 어플을 켜서, 아무 아파트나 눌러보면 해당 아파트 단지의 용적률과 건폐율에 대해서 알 수 있다. 위 캡쳐본은 삼성동 삼성힐스테이트 1단지 아파트의 용적률과 건폐율을 확인한 정보이다. 용적률 276%, 건폐율 19%의 아파트 단지이다. 그러면 해당 수치가 어떤 것을 의미하는지 알아보자. 용적률 용적률 = 건물의 총 대지면적 / 건물을 짓기 위한 대지면적 이다. (x100(%)) 용적률에 대한 정의를 알아보기 위해 간단한 예시를 들어 정리하였다. 먼저 건물을 짓기 위한 땅이 있다고 가정하자. (빨간색) 이제 그 땅 위에 건물을 지을 것이다. (파란색) 즉, 1번 그림은 우선 건물을 짓기 위한 대지가 있다 -> 분모에 들어감. 2번 그림은 .. 2022. 7. 25. 이전 1 ··· 4 5 6 7 8 9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