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57 부동산 관련 세금 정리(1) - 취득세, 재산세 부동산 관련된 세금을 공부하고 정리하여 보았다. 부동산 세금은 1. 부동산을 취득할 때(샀을 때), -> 취득세(지방세) 2. 부동산을 보유할 때(가지고 있을 때), -> 재산세(지방세), 종합부동산세(국세) 3. 부동산을 양도했을 때(팔았을 때), -> 양도 소득세(국세) 위와 같이 세금 덩어리이며 기본적으로 부동산은 억 수준의 가격대이기 때문에 몇% 수준이라도 백~천만원 수준의 액수가 산출된다. 세금의 이름 옆에 괄호() 안에 국세, 지방세 사항은 납부되는 곳으로 국세는 국가로, 지방세는 지방자치단체로 납부한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도 각기 다르다. 글 작성 시점인 22. 06. 21 기준으로 작성되었다. 1. 취득세(지방세) 취득세는 매매가와 보유한 주택 수에 따라서 계산이 된다.. 2022. 6. 22. 종합부동산세 및 변동사항(6.21 부동산 대책 포함) 2022년 6월 17일 네이버 부동산 기사를 확인해보니, 종부세 11억 -> 14억 확대 기사가 보여, 종부세 현재 상황과 변경 될 사항을 비교 정리하여보았다. https://land.naver.com/news/newsRead.naver?type=headline&prsco_id=119&arti_id=0002613193 [새정부 경제방향] 종부세 11억→14억 확대…“세부담 완화에도 관망세·초양극화 지속” 보유세 부담 2020년 수준으로 경감일시적 2주택자, 1주택자 자격 유지“전반적인 매수세 줄며, 집값 약보합세”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6월 15일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3차 당.정 협 land.naver.com 먼저 종합부동산세(이하 종부세)는 일정 기준을 넘는 부동산을 보유하고 있는 소유.. 2022. 6. 21. 부동산 공시지가와 확인 방법, 실거래가 부동산의 가격인 공시지가에 대해 무엇인지 알아보고, 확인하는 방법에 대한 포스팅이다. 1. 토지에 대한 공시지가. 1) 표준지공시지가 매년 1월 1일 기준의 토지에 대한 적정가격을 평가, 공시하여 토지에 대한 감정평가의 기준과 개별공시지가 등 각종 행정목적을 위한 지가 산정의 기능으로 적용하기 위한 지표이다. 2) 개별공시지가 개별공시지가는 표준지공시지가를 기준으로 시장, 군수, 구청장이 조사한 개별토지의 특성과 비교표준지의 특성을 비교하여, 토지가격비준표상의 토지특성차이에 다른 가격배율을 산출하고 이를 표준지공시지가에 곱하여 지가를 선정 후 감정평가업자의 검증을 받아 토지 소유자 등의 의견 수렴과 부동산평가위원회 심의 등의 절차를 거쳐 결정 상기 두 지가에 대해서는 국토교통부 사이트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2022. 6. 20. 이전 1 ··· 7 8 9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