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139 정부, 다주택자 취득세 중과세율 해제 검토 정부, 다주택자 취득세 중과세율 해제 검토 오늘 다주택자의 취득세 중과세율을 해제를 검토한다는 기사가 나왔다. 취득세 중과세율은 투기과열지구 기준으로 2번째, 3번째 주택을 구매할 때 각각 8%, 12%의 취득세율을 부과하는 것이다. (첫 주택을 구매할 때는 가격에 따라서 1~3%의 세율을 가진다.) 예를 들어, 투기과열지구에 있는 5억짜리 주택을 매매한다고 가정한다면 - 무주택자의 경우 취득세 : 500만원(1%) - 1주택자의 경우 취득세 : 4000만원(8%), (일시적 1가구 2주택의 경우는 1%로도 받을 수 있음) - 2주택자의 경우 취득세 : 6000만원(12%) 가 된다. (물론 이 외에 농어촌특별세, 지방교육세가 추가로 붙기 때문에 세금은 더 높아진다.) 이렇게 되면 쉽게 주택수를 늘릴 수.. 2022. 12. 15. 종합부동산세 관련 여야 합의 내용 종합부동산세 관련 여야 합의 내용 22년도 7월 윤석열 정부의 세제개편안이 발표되었었다. 해당 내용은 공약 내용에서 언급했던 것을 지키려고 했던 것으로 보인다. 먼저 세제개편안에 나왔던 내용을 살펴보면, 크게 아래 2가지 건을 볼 수 있다. 1) 기본공제 금액 상향 2) 종부세 세율 조정 위와 같이 기본공제금을 상향하여 종부세를 납부해야하는 대상이 적어지게 하려는 의도가 있었으나, 아래와 같이 22년도 종부세 고지서가 발행되기 직전까지도 여야 합의가 되지 않아 올해 종부세는 그대로 부과되었다. 다만, 법을 바꾸는 것이 아닌 대통령 시행령으로 조정이 가능했던 공정시장가액비율은 100 -> 60으로 하향하여 종부세의 일부를 감면하였다. 그리고 12월 12일날 발표된 기사에 따르면 종부세 개정에 대해서 대부분.. 2022. 12. 12. 22년도 하반기 대출 관련 기사 정리 22년 하반기 부동산 현황 아실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가격변동을 이용하여 가격 지수를 살펴보았을 때, 모두 같은 모양을 그리고 있다. 피크를 찍고 점차 매매/전세 모두 내려오는 추이를 그리고 있다. 모든 도시 예외없이 가격이 하락하고 있다. 전세가격도. 22년도 들어서 미국, 한국 모두 기준금리를 높이는 추세이기 때문에 대출에 부담을 모두 느끼고 있다. 다른 수치보다 대출 금리 기준이 되는 COFIX 를 살펴보면 1.69에서 3.98이 된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에 은행에서 이것저것 더하게 되면 금리는 더 올라가게 된다. 이렇게 모두 금리에 부담을 느끼는 상황이기 때문에 기존에 살던 곳에서 움직이지 않는게 선택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선택지다. 그게 아니라면 매매/전세가 아닌 월세를 선택하는 것도 가능성이 .. 2022. 12. 11. 미국 기준금리 변동 (22.11.02 기준) 미국 기준금리 추이 11.02 연방준비은행에서 또 다시 0.75%p 를 상승시켜 금리는 4%가 되었다. 4번 연속 자이언트 스텝을 진행하면서 연초 기준금리 0.25% 대비 16배가 오른 결과가 되었다. 이전까지 파월 의장은 지속적으로 물가 잡힐때까지는 금리를 계속 높이겠다는 매파적 발언을 지속해왔다. 따라서 물가를 보면서 금리 변동을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10월 미국 인플레이션을 살펴보면 7.7% 로 하향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예측치는 8.0% 였다. 따라서 예측치보다 낮은 수치가 나와 S&P500 수치는 11월 9일 3,748.57 에서 11월 10일 3,956.37로 꽤 높은 상승을 보였다 따라서 시장의 반응은 물가가 잡히는 신호로 보았다고 볼 수 있다. 예측치보다 0.3%나 낮게 나왔기 때문인.. 2022. 12. 10. 대한민국 기준금리 변동(22.11.24) 한국은행 기준금리 변동 추이 (11.24) 10월에 이어 기준금리가 0.25%p 상승하여 3.25%가 되었다. 이전 빅스텝(0.5%p 상승)에 비해 상승 폭은 감소하였다. 금리 상승 후, 12월 1일에 11월 소비자 물가 지수 상승률이 5%로 발표되었다. 7월 이후로 물가가 점점 내려와서 5%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2022년도 1월만 해도 3% 수준이었기 때문에 그 정도까지 내리는 것을 목표로 하면 금리를 조금 더 올릴 여지가 있다. 한국은행 입장 물가 발표와 관련하여 한국은행 총재의 인터뷰 내용을 간략하게 정리하였다. - 0.25%p 상승은 만장일치 결정, 아직도 물가가 높기 때문에 금리를 높였다. - 5%대의 높은 물가 상승률이 내년초까지 이어질 것, 다만 12월, 1월의 물가 상승률은 낮아질 것... 2022. 12. 7. 종부세 납부 관련 홈택스 확인 방법 2022년도 종부세 2022년도 종합부동산세 고지서가 발송되었습니다. 과세 기준일과 납부 기간은 아래와 같습니다. - 과세 기준일 : 6월 1일 - 납부 기간 : 12월 1일 ~ 15일 종부세 세액을 기준으로 분할납부가 가능합니다. 종부세가 250만원 초과(농특세 제외)할 경우 납부 기한이 지나고, 6개월 이내에 분납이 가능합니다. - 250만원 초과 500만원 미만 : 250만원 초과 금액 분납 가능. - 500만원 초과 : 50% 이하 금액 분납 가능. 종부세 조회 종부세 조회는 홈택스에서 할 수 있습니다. 홈택스 화면에서 로그인 후 -> 신고/납부 -> 세금납부 -> 국세납부 -> 납부할 세액 조회/납부를 누르면 확인이 가능합니다. 추가로 카드로택스 홈페이지에서도 가능합니다. - 카드로택스 접속 -.. 2022. 11. 23. 이전 1 ··· 338 339 340 341 342 343 344 ··· 3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