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139 [기사 스크랩] 계약갱신청구권이 월세화를 억제한다..? 계약갱신청구권 - 월세화를 억제한다...? 계약갱신청구권은(이하 계갱권) 임대차 3법 중에 하나로 2년을 살았던 세입자가 2년을 추가로 더 살 수 있는 2 + 2 법이다. 또한 계갱권을 사용하여 계약을 연장할 경우 기존 임대료의 5% 이내에서 계약이 가능하다. 따라서 표면적으로는 세입자의 임대료 안정과 +2년을 보장함으로서 임대시장의 안정화를 의도한 법이다. 그러나 이전 글에서도 봤듯이 이 법을 시행한 이후 전세가가 엄청나게 상승하였다.... 이전글 링크. 2022.07.07 - [부동산/부동산 공부] - 임대차 3법과 앞으로의 변화? 임대차 3법과 앞으로의 변화? 임대차 3법은 최근 사람들의 입에 많이 오르내렸던 법으로 2020년도 8월 경 도입된 법이다. 부동산 법은 생기다가도 없어지기도 하지만, 이.. 2022. 8. 14. 한국 소비자 물가 지수, 물가 상승률(22.08.01) 22.08.01 에 업데이트 된 한국 소비자 물가 지수와 물가 상승률에 대해서 살펴보겠다. 최근 금리의 상승이 너무나 신경이 쓰이기 때문에 물가 지수에 더 관심이 가는 것 같다. 한국 소비자 물가 지수 - 대한민국 소비자 물가 지수는 꾸준하게 상승하고 있다. MAX 로 하여 차트를 보면 꾸준하게 상승을 해 온 것을 볼 수 있고, 최근의 기울기가 더 급격하게 올라갔다는 것을 볼 수 있다. - 8월 지수는 9월 1일에 업데이트가 될 것으로 예상이 된다. 미국의 금리가 올라가는 만큼 한국의 금리도 조금은 더 올라갈 것으로 예상이 되는데, 우선 연말 기준 3.0% 정도로 예상을 하였으니, 지켜보아야 할 것이다. 소비자 물가 상승률 한국의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계속해서 상승하고 있다. 다만 상승률의 상승폭은 조금.. 2022. 8. 14. 미국 소비자 물가 지수, 물가 상승률 (22.08.10) 22. 08. 10 미국 소비자 물가 지수 (CPI) 및 물가 상승률이 발표되었다. 지금까지 금리를 높인 효과가 나와야 금리가 더 오르지 않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미국 소비자 물가 지수(CPI) - 22년도 7월 물가 지수 발표 : 6월 대비 물가 지수 하향 (296.311 -> 296.276) - 금리를 높인 효과가 어느정도 나온 모양새 - 다음 발표는 9.13일. 소비자 물가 상승률 -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전년 대비 어느정도 올랐는가에 대한 지수이다. 따라서 작년 7월 대비해서 8.5% 상승하였다는 의미로 해석하면 될 것이다. - 차트상으로 2021.6월 -> 2022.6월에 상승한 수치 대비, 2021.7월 -> 2022.7월 상승한 수치는 감소되었다. - 이러한 신호는 우선 연준의 .. 2022. 8. 14. 2022년 7월 금융시장 동향 보도자료 정리 한국은행에서 22.08.10에 올린 22년 07월중 금융시장 동향 입니다. 시장 금리 및 주가 - 6월 보도자료와는 달리 국고채와 회사채가 하락하였다. 보도자료에서는 글로벌 경기둔화 우려 등에 따른 위험회피심리 강화, 주요국 국채금리 하락 등으로 해석하였다. 다만 지표는 6월이 peak 였고 현재는 내려온 수준이고, 7월말과 비교했을 때는 큰 차이가 없다. 이대로 추이가 지속된다면 국고채 (3년) 금리는 3.0 초반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추정된다. - 단기 시장금리는 기준금리 인상(7.13일) 등의 영향으로 큰 폭 상승으로 해석하였다. 채권금리는 하락하였는데 단기 시장금리는 상승하였다. 즉 반대의 양상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다만 미국도 기준금리를 높이고 있으니, 한국 기준금리도 점점 더 높아질 것이다.. 2022. 8. 12. 경제금융용어 700선 - 유동성, 이중통화채란? 한국은행에서 제공하는 경제금융용어 700선 파일에서 스노우폭스 그룹의 회장이신 김승호 저자께서 돈의 속성이라는 책에서 최소로 알아야 할 용어 90개를 정해주셨고, 해당 용어에 대해 공부하기 위해 정리한 내용이다. 유동성 유동성(liquidity)이란 자산을 현금으로 전환할 수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용어로 기업의 자산을 필요한 시기에 손실 없이 화폐로 바꿀 수 있는 정도를 나타낸다. 유동성은 자산의 유동성과 경제주체의 유동성으로 구분되는데 자산의 유동성은 화폐의 유동성과 화폐를 제외한 자산의 유동성으로 나뉜다. 화폐의 유동성은 화폐가 다른 재화나 서비스로 전환되는 정도를 말한다. 자산의 유동성은 화폐 이외의 자산을 화폐로 전환한 후 다른 재화나 서비스로 전환하는 정도를 말한다. 자산의 유동성은 전환대상 자.. 2022. 8. 12. 부동산 경매란? 부동산 경매란? 부동산 경매는 채무가 있는 사람의 부동산을 경매를 통해서 채무를 풀어나가는 과정이리고 볼 수 있다. 즉, 부동산 경매에 나온 물건은 채무가 있는 사람(또는 법인)의 물건이라고 보면 된다. 채무가 있는 사람이 채권자에게 이자나 원금을 상환하지 않아 채권자가 물건을 경매로 넘겨 채무관계를 해결하기 위한 과정이다. -> 쉽게 얘기하면 A라는 사람이 B라는 사람에게 돈을 빌렸고, 이 과정에서 A는 자신의 부동산을 담보로 잡았다. 그런데 A가 B에게 돈을 갚지 않아 B는 지난번 담보로 잡은 부동산을 경매로 넘기게 된다. 이 부동산이 팔리면 그 돈으로 B는 자신의 돈을 회수할 수 있다. 이러한 채무 과정에 휘말린 부동산이 경매로 나오게 된다. 특히 1~2년전 영끌이 심할 때, 돈을 많이 빌려 부동산.. 2022. 8. 10. 이전 1 ··· 344 345 346 347 348 349 350 ··· 357 다음